안녕하세요 메가소방입니다.
2021년 소방공무원 시험의 최종합격 결과가 모두 발표되었습니다.
이번 분석자료에서는 2021년 소방공무원 시험 경채 소방관련학과 (남성, 여성) 의 시험 결과 - 실질경쟁률과 필기시험 합격선, 체력시험 합격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실질경쟁률
소방공무원의 국가직 전환으로 인해 소방청에서 일괄적으로 시험 접수를 담당하게 되면서, 더 이상의 중복접수는 불가능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수험생들은 단 한 곳만을 지원할 수 있게 되었고, 이로 인해 소방관련학과 (남성)의 전체 응시율은 (2020년 : 응시율 공고 지역 기준) 61.4%에서 90.6%로 대폭 상승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전 지역의 실질경쟁률에서도 앞서 발표된 경쟁률과 비슷한 수준인 23.8 대 1을 기록하였습니다.
특히 중복지원이 불가하여 한 지역만 지원 가능하였음에 불구하고 실질경쟁률은 전반적으로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모집인원의 감소를 그 원인으로 들 수 있습니다.
2021년 소방관련학과 (남성) 전체 모집인원은 75명으로, 2020년의 모집인원인 133명의 56% 수준이며, 출원인원은 전년도의 75% 수준인 1966명입니다.
이처럼 모집인원의 감소에 비해 출원인원에서 적은 수준으로 감소하여, 결과적으로 실질경쟁률은 전년도보다 상승하였습니다.
소방관련학과 (남성)의 필기시험 실질경쟁률은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가장 높은 실질경쟁률을 기록한 지역은 대구광역시입니다. 대구광역시는 전년도보다 16.9 대 1 상승한 37.3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였으며, 이는 전년도 대비 80% 이상 상승한 수준입니다.
반면 가장 낮은 실질경쟁률의 지역은 전라북도로, 16.5 대1의 실질경쟁률을 기록하였습니다.
(응시율이 공고된 지역 기준) 전년도 대비 가장 큰 폭으로 실질경쟁률이 상승한 지역은 창원(경상남도) 입니다.
창원 지역의 모집인원은 2020년도와 2021년 모두 동일하게 4명을 모집하였습니다.
그러나 출원인원은 전년도보다 121명 상승한 153명으로, 4.7배 이상 상승한 수준입니다.
창원 지역의 출원인원 및 실질경쟁률 상승의 원인으로 여러 방면을 생각해볼 수 있겠지만, 우선적으로 전년도의 낮은 합격선을 그 원인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
창원 지역의 2020년 합격선은 80점으로, 전 지역에서 가장 낮은 합격선입니다. (미발표된 제주 제외)
따라서 전년도의 낮은 합격선을 고려한 수험생들이 대거 창원 지역에 접수하게 되면서, 오히려 2021년도에는 창원 지역의 실질경쟁률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추세를 고려하였을 때, 2022년에도 지역 선택을 두고 수험생들의 "눈치 싸움"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소방관련학과 (여성)에서도 실질경쟁률이 전년도보다 전반적으로 상승하였습니다.
특히 대구광역시에서는 소방관련학과 (남성)과 마찬가지로 가장 높은 실질경쟁률인 28.5 대 1을 기록하였으며, 2020년 응시율이 발표된 지역을 기준으로 가장 큰 폭으로 실질경쟁률이 증가하였습니다.
반면 가장 낮은 실질경쟁률을 기록한 지역은 11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 광주광역시로, 이는 전년도와 동일한 실질경쟁률입니다.
2. 필기시험 합격선
소방관련학과 (남성)의 합격선은 모두 80점대에서 형성되었으며, 평균 합격선은 86.82점으로 전년도보다 소폭 상승하였습니다.
필기합격선이 가장 높은 지역은 울산과 세종, 강원, 충남, 경남, 창원 지역으로, 합격선은 88.33점이며 충남과 경남 지역을 제외하고 모두 합격선이 상승하였습니다.
특히 창원 지역의 합격선이 크게 상승하였는데, 이는 앞서 말씀드린 창원 지역 실질경쟁률의 대폭 상승이 원인이 되었습니다.
반면 필기합격선이 낮은 지역은 부산과 대구이며, 두 지역의 필기합격선은 83.33점입니다.
소방관련학과(여성)의 필기 합격선 평균은 87.33점으로, 전년도보다 1.33점 상승하였습니다.
소방관련학과(여성)의 필기합격선에서는 높게는 90점 이상으로, 낮게는 70점대로 형성되었습니다.
가장 높은 합격선을 기록한 지역은 부산광역시로, 부산은 전년도에서도 가장 높은 합격선을 기록한 지역입니다.
반면 광주광역시는 전년도보다 16.67점의 큰 폭으로 합격선이 하락하여 가장 낮은 합격선을 기록하게 되었습니다.
대다수의 지역의 남성과 여성의 필기합격선이 높게는 90점대 이상, 낮게는 80점대 중반이라는 점에서 소방관련학과의 합격선은 다른 분야에 비해 비교적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소방학개론과 소방관계법규 과목이 학부 전공과목에 해당하여 과목에 익숙한 많은 지원자에 의해 소방전문과목의 점수대가 전반적으로 높다는 점,
그리고 모집인원의 감소로 실질경쟁률의 증가하였다는 점을 그 원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앞으로 경채 소방관련학과 분야에 지원하여 합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고득점을 얻어야하며 이를 위해 소방관련학과 분야의 지원자들은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
3. 체력시험 합격률

소방공무원 시험의 마지막 관문, 체력합격률의 결과는 어떠할까요?
2021년 경채 소방관련학과 (남성)의 체력합격률은 평균 81.5%로, 전년도보다 소폭 감소하였습니다.
가장 높은 체력합격률을 기록한 지역은 세종특별시로, 세종특별시 필기합격자 6명 모두 체력시험에서 합격하였습니다.
반면, 가장 낮은 합격률을 보인 대구광역시와 광주광역시에서는 필기시험 합격자 9명 중 3명이 체력시험에서 탈락하게 되어, 66.7%의 체력시험 합격률을 기록하였습니다.
소방관련학과 (여성)의 체력시험 합격률은 93.6%로, 전년도보다 소폭 감소하였습니다.
소방관련학과 (여성)에서의 체력시험 합격률은 비교적 높은 편이지만,
합격률이 낮은 지역에서는 60% 이상의 필기합격자가 체력시험에서 탈락하였던 경우도 있었기 때문에(2020년, 세종) 체력시험의 준비를 더욱 철저히 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20~30%의 필기 합격자가 체력시험에서 탈락한다는 점, 그리고 최종 합격자 선발 시 체력시험이 15%의 비중을 차지한다는 점을 고려하였을 때
그만큼 체력시험은 충분히 소방공무원 시험 합격의 결정적인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특히 경채에서는 3과목의 평균점을 통해 합격자가 결정되어 동점자가 많을 수 있으므로, 여러 동점자 중에서 최종 합격자를 결정하는 요소는 결국 체력시험 및 면접시험의 결과가 될 것입니다.
지금까지 2021 소방공무원시험 경채 소방관련학과의 시험 결과들을 알아보았습니다.
알려드린 시험 결과 자료들을 바탕으로, 다가오는 2022년 소방공무원 시험의 성공적인 합격 전략을 세우시길 바랍니다.
메가소방이 여러분의 꿈을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