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필기시험 D-36

메가 소방

메가소방 메뉴

수험 전문가의 합격전략 가이드 합격전략 칼럼

합격 [합격전략] 2023년 소방공무원 필기시험 합격선 분석 - 공채 소방

2023.04.27 10,060

 


 

안녕하세요. 메가소방 합격전략연구소입니다.

오늘은 2023 소방공무원 공채 소방 직렬의 실질경쟁률과 필기 합격선을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소방청에서 합격선을 발표하며 응시인원 및 응시율도 함께 발표하였는데요, 2023년 소방공무원 필기시험 공채 소방 전지역 응시율 평균은 88.3%로, 2022년의 85.5%보다 다소 상승했고 국가공무원 9급의 응시율인 74.9%보다 약 13.4%p 높은 수치입니다.

2023년부터는 공채 소방 지원 수험생들은 소방학개론, 소방관계법규(공채), 행정법총론 등 전체 3과목을 과목당 25문항씩 응시하여 75분 동안 75문항, 300점 만점의 필기시험을 보아야 했습니다. 

전체 5과목, 100문항을 응시하였던 2022년에 비해 문항수가 25문항이 줄어들면서 남, 여 모두 지역별로 합격선의 격차가 줄어든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선발인원의 급감으로 인해 성별의 구분 없이 모든 지역의 실질경쟁률과 합격선이 큰 폭으로 상승한 것도 알 수 있었습니다.

 

🚨여기서 잠깐?! 경쟁률 vs 실질경쟁률

오늘 칼럼에서 계속 언급할 실질경쟁률! 경쟁률과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일까요?

경쟁률은 해당 모집단위에 지원한 수험생, 즉 출원인원을 선발인원으로 나눈 비율입니다. 

단순하게 표현하면, ‘뽑고자 하는 한 자리에 몇 명이 지원하는가?’를 산술적으로 계산한 것입니다. 

하지만 실제 필기시험장에 가보면 여러 사유로 결시인원이 생기기 마련인데요, 이렇게 지원은 했지만 시험을 보지 않은 인원을 제외한 ‘진짜로 필기시험에 응시한 인원’이 응시인원입니다. 

실질경쟁률은 응시인원을 선발인원으로 나눈 비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오늘은 실제로 필기시험을 응시한 인원을 대상으로 비교하기 위해 경쟁률이 아닌 실질경쟁률 수치를 통해 합격선을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공채 소방(남) 실질경쟁률 및 필기 합격선

- 공채 소방(여)와 비슷해진 공채 소방(남) 합격선!


  


 합격선 Top 2 지역

- 대전광역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광주광역시,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공채 소방(남)은 몇 개의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이 비슷한 수준의 합격선을 형성하였습니다. 

가장 높은 합격선을 보인 지역은 대전광역시로 268점입니다. 대전광역시의 실질경쟁률은 36.9:1로 전체 지역 중 3번째로 높습니다. 

대전광역시의 경우, 2022년 합격선이 가장 낮은 지역이었습니다. 

작년의 25명에 비해 선발인원이 절반 수준인 13명을 선발하고, 인접지역인 충청남도가 단 4명 만을 선발하면서 대전광역시로 지원자가 몰렸음을 추측해볼 수 있고, 수험생들이 이동하면서 실질경쟁률이 2022년의 11.8:1보다 3배 이상 높아지면서 2022년과 상반되게 가장 높은 합격선을 형성한 것으로 보입니다.

대전광역시의 268점 다음으로 높은 합격선은 264점으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광주광역시,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까지 총 7개 지역에서의 합격선이 264점입니다.

7개 지역 중 인천(12.7:1)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이 18:1~30:1 수준의 높은 실질경쟁률을 형성하였습니다.

2022년 전체 지역 중 가장 높은 실질경쟁률을 나타낸 지역은 부산광역시로 16.0:1이었습니다. 

하지만 2023년 선발인원이 매우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전체 지역의 경쟁률과 실질경쟁률이 모두 상승하여, 16:1 수준은 실질경쟁률 하위 그룹 수준입니다. 

게다가 가장 높은 필기 합격선인 268점은 전체 문제 중 8개 이하의 문제만 틀려야 합격할 수 있는 점수입니다.

이를 통해 이제 소방공무원을 준비하는 남성 수험생 역시 여성 수험생과 마찬가지로 필기시험에도 이전보다 더 높은 점수를 획득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함을 알 수 있습니다.

 

 합격선 Bottom 2 지역

- 충청남도, 울산광역시

충청남도의 합격선은 236점으로 가장 높은 합격선을 형성한 대전광역시의 268점과 무려 32점 차이가 납니다. 

충청남도는 2022년에 145명을 선발하였는데요, 2023년에는 무려 141명이 감소한 4명만을 선발하면서 급격한 선발인원의 감소에 영향을 받은 수험생들이 지원을 꺼리면서 오히려 출원인원은 전체 지역 중에 가장 적은 164명, 실질 경쟁률은 33.0:1 수준이었습니다.

울산광역시는 실질경쟁률이 51.3:1로 가장 높은 지역임에도 필기 합격선은 충청남도에 이어 두번째로 낮은 248점을 기록하였습니다.

충청남도와 울산광역시의 공통점은 선발인원이 매우 적다는 점입니다. 

충청남도 4명, 울산광역시 3명 만을 선발하면서 출원인원이 두 지역 모두 200명이 되지 않았고, 필기 응시인원 역시 충청남도 132명, 울산광역시 154명에 그쳤습니다.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하는 경기도의 경우 필기시험 응시자가 2,413명이었는데요, 두 지역에 비해 20배 이상 많은 인원이 시험에 응시한 격입니다. 

이처럼 필기시험에 응시하는 수험생의 절대적인 수가 적었기 때문에 두 지역 모두 실질 경젱률은 높은 편이었지만, 합격선은 낮게 형성되었음을 추측해볼 수 있습니다.

 

2. 공채 소방(여) 실질경쟁률 및 필기 합격선

- 전체 지역의 실질경쟁률이 20:1 보다 높은 수준으로 형성!

 

 


 

 합격선 Top 3 지역

- 경상북도, 부산광역시, 전라북도, 대전광역시, 경기도

공채 소방(여)의 전체 지역 평균 합격선은 258.8점으로 공채 소방(남)의 평균 합격선과 동일한 점수입니다. 

여성의 경우 이전에도 남성에 비해 적은 인원을 선발하면서 남성보다 높은 경쟁률과 합격선을 형성해왔습니다. 

2023년에는 전체적인 선발인원이 급감하면서 공채 소방(여)의 합격선 역시 상승하였으나, 공채 소방(남)의 합격선의 상승폭이 훨씬 커 남녀의 합격선 격차가 거의 없는 수준으로 줄어들었습니다.

공채 소방(여) 전체 지역 중 가장 높은 합격선을 형성한 지역은 경상북도로 272점입니다. 

경상북도는 실질경쟁률이 43.0:1로 전체 지역 중에서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경상북도는 2022년 합격선이 가장 낮은 지역이었으나, 2023년 단 2명 만을 선발하고 96명이 지원하면서 합격선이 큰 폭으로 상승하여 공채 소방 남, 여를 통틀어 가장 높은 합격선을 형성했음을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경상북도에 이어 부산광역시와 전라북도가 268점으로 높은 합격선을 형성하였습니다. 

두 지역은 모두 실질경쟁률이 35:1 이상으로 합격선 상위 1~3위 지역이 실질경쟁률 상위 1~3위에 위치하면서 경쟁률과 합격선 상에 유의미한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합격선 Bottom 2 지역

- 제주특별자치도, 경상남도(창원), 광주광역시, 강원도, 전라남도

공채 소방(여) 전체 지역 중 가장 낮은 합격선을 나타낸 지역은 제주특별자치도와 경상남도(창원) 입니다. 

두 지역의 실질경쟁률 역시 중하위권에 머물면서 합격선 상위권 지역과 마찬가지로 경쟁률과 합격선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경상남도(창원)의 경우 작년에는 합격선이 상위 3위에 위치해 있었는데요, 올해는 단 1명을 선발하는데 그쳐 출원인원 33명, 응시인원 26명으로 가장 적은 규모의 수험생이 지원하게 되면서 오히려 합격선이 하락한 것으로 보입니다.

경상남도(창원) 외의 제주특별자치도, 광주광역시, 강원도, 전라남도 지역은 모두 2명을 선발합니다. 

올해 공채 소방(여)의 경우 16개 지역 중 9개의 지역의 선발인원이 5명 미만이었습니다. 

극도로 적은 인원을 선발하는 지역으로 오히려 수험생들이 지원을 피하고 상대적으로 선발인원이 많은 지역으로 몰리면서, 오히려 선발인원이 적은 지역의 합격선이 낮게 형성된 경우도 있었습니다.

 

3. 공채 소방 선발배수

 

 


 

소방공무원의 경우 선발배수가 선발인원에 맞춰 정해져 있습니다. 

하지만 2023년부터 필기시험 과목이 개정되면서 전체 문항수가 75문항으로 줄어들었고, 조정점수 등이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필기시험에서 동점자가 많이 발생하였습니다. 

동점자가 발생하는 경우, 전체 인원이 필기합격하기 때문에 정해진 선발인원보다 더 많은 인원이 필기합격하게 됩니다. 

2023년 필기합격 인원을 예상 선발배수 반영 인원과 비교해보면 남성의 경우 약 14%의 인원이 예정되었던 선발배수 반영인원보다 더 합격하였고, 여성은 그 보다 더 높은 약 22%의 인원이 선발배수보다 많이 합격하였습니다. 

따라서 소방공무원 최종합격의 첫 관문인 필기시험을 통과한 수험생들은 선발배수보다 조금씩 더 많은 인원이 합격했음을 상기하며, 체력 및 면접시험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입니다.

 

4. 필기시험 이후 체력시험

 

 


 

필기시험 이후 최종합격자 결정에 25%를 차지하는 체력시험이 시행됩니다. 

체력시험은 6개 종목에 대한 평가점수를 합산하여 총점 60점 중 30점 이상 득점시 합격하게 됩니다.

체력시험 평가점수표 확인하러 가기>

 

체력시험 일자는 지역별로 다르기 때문에 본인이 지원한 지역에 대한 내용은 공고를 통해 반드시 직접 확인하여야 합니다.

체력시험 합격자는 전지역 동일하게 5월 11일에 발표하며, 그 뒤로 신체, 서류, 소방적성검사를 거쳐 마지막 관문인 25% 비중의 면접시험이 진행됩니다.

체력시험과 면접시험의 비중이 이전보다 훨씬 높아졌기 때문에 합격선에 근접한 점수를 받은 수험생도 체력 및 면접시험을 통해 충분히 최종합격의 결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필기시험을 합격한 수험생은 앞으로 남은 모든 수험 과정을 포기하지 않고 성실히 준비해야 합니다.

 

필기시험에 합격한 수험생이라면 남은 체력과 면접시험에 더욱 매진을,

아쉽게도 이번 소방공무원 필기시험에 합격하지 못한 수험생들이라면 변화되는 제도에 맞춰 필기시험과 체력, 면접시험, 그리고 가산점까지 다방면으로 다른 수험생들보다 완벽해질 수 있도록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메가소방이 여러분의 합격을 응원합니다.